본문 바로가기

국제

후쿠시마 오염수, "바다에 버리거나 대기 방출"

 일본 정부가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때 폭발사고를 일으켰던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의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거나, 수증기로 대기에 방출하는 방안을 담은 보고서를 23일 공개했다. 시기가 문제일 뿐 후쿠시마 주변 지역 주민들과 한국 등 이웃나라가 반대하는 오염수 해양 방출을 일본 정부가 단행하는 쪽으로 사실상 결론이 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경제산업성은 이날 오염수 처리에 관한 소위원회의 보고서 초안을 공표했다. 경산성이 오염수 처분 방안을 찾기 위해 2016년 11월부터 13명으로 가동한 전문가 소위는 오염수를 희석한 뒤 바다로 내보내는 ‘해양 방출’, 증발시켜 대기 중으로 내보내는 ‘수증기 방출’, 혹은 이 두 가지 방식의 병행 등 3가지 안을 제시했다. 어느 쪽이든 현재 대형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외부로 방출하겠다는 것이다. 처리 기간은 최소 10년 정도 걸릴 것으로 추산된다고 요미우리신문은 전했다.
 그러나 풍평 피해(風評被害·소문 등으로 인한 피해)를 우려해온 어업 관계자 등 지역 주민들과 시민단체 등에서 요구해온 ‘부지 내 장기보관 방식’은 “폐로 작업에 필요한 시설을 지을 수 없게 된다” 등의 이유로 담기지 않았다. 또다른 방안인 전기 분해 후 수소 형태 방출과 지하 매설은 전례가 없고 “규제, 기술, 시간적인 과제가 많다”는 이유로 제외됐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원자로 냉각에 쓰인 오염수가 계속 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라는 정화장치로 대부분 방사성 물질들을 제거한 뒤 대형 탱크에 보관하고 있다. 지난 12일 현재 118만t을 넘어섰는데, 도쿄전력은 “2022년이면 탱크가 가득 찬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오염수 처리 방식을 논의해왔는데, 사실상 바다에 방출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이라는 의심을 줄곧 받아왔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희석해 바다에 방출하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고 주장하면서 대외 홍보전을 강화해왔다.
 문제는 일본이 ‘처리수’라고 부르는 오염수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세슘-137, 스트론튬을 포함한 방사성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는 것이다. 후쿠시마 지역 어민들과 환경단체, 한국 등 주변국은 “무책임하다”며 오염수 방류에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9월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서한을 보내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할 가능성, 잠재적인 환경 영향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