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기 올해 5월 이후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궤도를 두 차례 이상 탐지하지 못했다고 교도통신이 23일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반면 한국 군은 탐지한 것으로 알려져,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에 따른 안보 우려가 일본 내에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이 올해 5∼9월 발사한 미사일 중 동해 쪽에서 경계 중이던 해상자위대 이지스함이나 일본에 배치된 항공자위대 레이더가 탐지하지 못한 사례가 있었다. 북한이 올해 5월부터 지난 10일까지 동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모두 10개디. 통신은 이들 대부분이 통상보다 낮은 고도 60㎞ 이하로 비행했으며 저고도와 변칙적인 궤도로 인해 일본이 포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반면 미사일 탐지는 발사 지점까지의 거리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한국 쪽에서 포착하기 쉬우며 한국군은 이들 미사일 탐지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고 교도는 덧붙였다.
한국군과 일본 방위성은 북한이 발사한 것이 신형단거리 탄도미사일 KN23, ‘에이태킴스(ATACMS·미국산 전술지대지미사일)’와 비슷한 신형 미사일, 다연발 로켓포 등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교도는 일본 정부가 포착하지 못한 사례에 KN23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KN23은 러시아제 고성능 탄도미사일과 매우 비슷하며 일본까지 도달할 가능성이 있고 변칙적인 궤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정부는 북한이 기존 미사일 방어망 돌파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북한의 미사일 개발이 ‘예상 외의 속도’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일본이 북한 미사일 조기 탐지에 실패할 경우 요격이 어렵고 미사일이 땅에 떨어지기 전에 피난 경보를 발령하거나 피해를 막는 대응을 하는 것도 늦어지게 된다.
교도통신은 한국 정부가 GSOMIA 종료를 결정한 것이 일본의 안전보장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고 한·미 양국과의 연대 강화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고다 요지(香田洋二) 전 해상자위대 자위함대사령관은 “미사일 발사 장소를 사전에 알면 탐지하기 쉬우며 한국은 북한에 대한 감청 등의 수단으로 대강의 장소나 시간을 특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일본이) 탐지하지 못했다면 한국이 이런 정보를 일본에 제공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면서 “일본이 얻기 어려운 정보와 한국에는 없는 일본 레이더 정보를 양국이 교환하는 GSOMIA는 미사일을 탐지하는 데는 유효하다”고 했다.
보도대로라면 일본의 북한 미사일 대응이 완전하지 않은 만큼 GSOMIA가 종료하는 경우 일본은 북한 미사일 대응 과정에서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24일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당시 방위상은 한국 정부의 GSOMIA 종료 결정 통보가 미사일 정보 수집 및 분석에 영향을 줬느냐는 물음에 “협정이 올해 11월까지 유효하므로 영향은 없었다”고 답했다.
'국제 > 한일 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 ‘소녀상 전시 중단에 “내 작품도 빼라”는 작가 늘어 (0) | 2019.09.24 |
---|---|
일본 주장한 세계기록유산 제도 변경 “연내 실현 단념” (0) | 2019.09.23 |
유엔총회 기간 한미일 정상회담도 어렵다 (0) | 2019.09.23 |
"아베, 한미일 정상회담도 응하지 않을 듯" (0) | 2019.09.20 |
8월 방일, 일본 자동차 판매 '반토막' (0) | 2019.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