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

“중노령사회가 온다”...일본, 75세 이상 급증에 과제 심각

 ‘중(重)노령 사회가 온다.’
 일본이 75세 이상의 후기 고령자 수가 65~74세의 전기 고령자 수를 웃도는 ‘중노령 사회’ 국면으로 조만간 들어간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8일 보도했다.
 일본 총무성의 인구추계에 따르면 지난 2월1일 현재 75세 이상 인구는 1764만명으로, 65~74세 인구 1766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수명이 점점 길어지고 있기 때문에 후기 고령자는 월 평균 3만명씩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르면 곧 발표되는 3월1일 현재 인구 추계에서 후기 고령자 수가 전기 고령자 수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니혼게이자이는 전했다.
 일본 정부는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을 ‘고령화율’로 산출하고 있다. 1947~1949년 태어난 베이비 붐 세대인 ‘단카이(團塊) 세대’가 2012년 65세가 되기 시작하면서 고령화율은 급상승, 2017년에 27%가 됐다. 세계보건기구(WHO) 등의 정의에 따르면 고령화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 사회’, 14%를 넘으면 ‘고령 사회’, 21%를 넘으면 ‘초고령 사회’로 자리매김된다.
 현재 일본에선 의료 발전 등으로 인해 65세를 넘어도 건강한 고령자가 많다. 이들은 풍부한 자금으로, 여행이나 취미를 즐기는 등 정력적으로 활동해 ‘액티브 시니어’로 불리고 있으며, 개인 소비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 일본에선 개인 소비의 절반을 60세 이상의 고령자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계된다.
 하지만 후기 고령자가 중심이 되면서 이런 상황이 변할 것으로 보인다. ‘네타키리’(거동을 하지 못해 누워서만 지내는 상태)와 치매 등 신체적으로 쇠약해지는 후기고령자의 급증으로 고령자를 어떻게 떠받칠 것인가라는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는 ‘중노령 사회’가 온다는 것이다.
 크게 변하는 것이 개호(간병)다. 전기 고령자에서 개호가 필요하다고 인정받고 있는 이들은 전체의 3%지만, 후기 고령자는 23%로 급증한다. 고령자가 고령자를 개호하는 ‘노노(老老개호)’는 75세 이상의 경우 자택 개호의 30%를 차지한다. 특히 수도권에서 개호 문제는 향후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쿄도의 경우 향후 5년간 후기 고령자가 20~30만명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이에 도쿄도는 작년 ‘초고령사회 도쿄 간담회’를 발족, 노노개호나 빈집 문제 등의 논의를 시작했다.
 치매 노인의 급증은 돈의 흐름에도 큰 영향을 준다. 후생노동성이 발주한 연구에 따르면 치매는 60대 후반에서 약 2%, 70대 전반에서 5%인데 비해, 70대 후반은 10%로 오른다. 주식 등 유가증권의 상당수는 70대 이상이 보유하고 있어, 소유자가 치매 등이 되면 운용이 동결될 가능성이 높다.
 미즈호종합연구소의 다카다 하지메(高田創)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035년에는 최대 150조엔의 유가증권을 치매 고령자가 보유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돈이 돌지 않게 되면 금융 면에서의 성장이 멈추게 된다”고 우려했다. 고바야시 게이치(小林慶一郞) 게이오대 교수는 “앞으로는 고령자를 떠받치는 부담이 늘어나는 ‘중고령 사회’ 국면에 들어간다”면서 “금융이나 일하는 방식, 재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낳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