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김진우의 도쿄 리포트

초고령사회 일본의 ‘신종' 쓰레기 문제...성인용 기저귀 처리에 고심

  ·성인용 기저귀, 유아용 생산량 절반에 육박
 

   일본 가고시마현 시부시(志布志)시의 특별양호노인홈(한국의 노인요양원) ‘가주엔(賀壽園)’에서 내는 쓰레기는 90%가 기저귀다. 개호(간병)가 필요한 정도를 나타내는 ‘요(要)개호도’가 높아져 기저귀를 사용해야 하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주엔 측은 “가능하면 기저귀에 의존하지 않는 개호에 노력하고 있지만, 쓰레기는 줄곧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개호시설 담당자는 “머지 않아 각지에서 기저귀 쓰레기를 다 처리할 수 없게 되는 것 아닌가”라고 우려했다.
 일본에서 성인용 기저귀가 ‘새로운 쓰레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19일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개호가 필요한 고령자가 증가하면서 각지에서 성인용 기저귀 쓰레기의 처리에 머리를 싸매고 있다.
 일본의 성인용 기저귀 사용량은 증가일로다. 일본 위생재료공업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성인용 기저귀 생산량은 약 78억개로 10년 사이 33억개가 늘었다. 지난해 유아용 기저귀 생산량은 159억개다. 기저귀 쓰레기양도 2007년 84만t에서 2017년 145만t으로 증가했다.
 일본에서 기저귀 쓰레기는 소각 처리하는 ‘일반쓰레기’로 분류, 각 지방자치단체가 처분을 맡고 있다. 지자체로선 기저귀 쓰레기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인 셈이다. 고령화가 진행된 과소(過疏)지자체에선 기저귀가 일반쓰레기의 20~30%를 차지할 정도다.
 성인용 기저귀는 유아용보다 큰 데다 수분을 많이 품고 있어 잘 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사이타마현 후지미노시의 경우는 “한 번에 대량의 기저귀가 들어오면 쓰레기가 잘 타지 않는다”는 이유로 병원이나 개호시설이 기저귀 쓰레기를 내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개호시설 등은 민간업자에 위탁해 기저귀 쓰레기를 다른 곳으로 반출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에선 인구 감소로 세수가 줄어드는 가운데 기저귀 쓰레기로 소각로의 건설비나 운영비가 늘어나 재정적인 부담이 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소각 후 나온 재를 매립할 장소의 확보가 인근 주민의 반대로 어려워진 사정도 있다.
 일본에서 기저귀 쓰레기가 늘어나는 데는 기저귀가 다양화한 반면 개호시설 등의 인식은 부족한 데 따른 영향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에선 2000년대 들어와 용도별로 흡수량을 다른 다양한 기저귀를 개발, 현재 약 400종류가 시판되고 있다. 그만큼 선택하기가 쉽지 않아서 일부 개호시설에선 흡수량이 많은 가장 큰 기저귀를 사용하거나 대·소변이 새지 않도록 몇 개씩 겹쳐쓰고 있다. 사고를 막기 위해 화장실에 갈 수 있는 고령자에게도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일본에선 개호가 필요한 고령자는 2015년 현재 약 450만명으로, 2030년에는 670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환경성에 따르면 일반쓰레기에 차지하는 기저귀의 비율도 2015년도 5%에서 2030년도에 8%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가 심각해지자 환경성은 내년 중에 기저귀 쓰레기의 재활용을 촉진하는 ‘가이드라인’을 정할 방침이다. 가이드라인에는 선진 지자체의 사례를 참고로 처리나 회수 방법 등을 담을 예정이다. 현재 기저귀 쓰레기를 고형연료나 건축재료 등으로 재활용하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기저귀 분리 수거에 필요한 인건비나 시설의 도입비 등 보급을 위한 비용면에도 과제가 있어 “새로운 쓰레기 문제의 벽은 낮지 않아 보인다”고 요미우리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