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일본 니혼 닛폰

‘데스크 워크’의 개념이 변한다…일본, 고정석 없는 ‘프리 어드레스’, ‘서서 회의’ 등 확산

 일본에서 ‘데스크 워크’(Desk work·사무)의 개념이 변하고 있다. ‘일하는 방식 개혁’이 진행되는 가운데 사무는 한 곳에 앉아서 하는 것이란 개념을 깨는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서서 회의나 일을 하는 방식이 확산되고 있고, 고정석이 없는 ‘프리 어드레스(Free Adderess)’를 도입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도쿄 마루노우치에 있는 도쿄카이조니치도(東京海上日動)화재보험 본사 17층 비즈니스프로세스개혁부에선 서서 회의나 협의를 한다. 이 부서는 ‘프리 어드레스’ 제도를 2016년 도입했다. 이에 맞춰 키가 큰 책상이나 프로젝터 등을 설치해, 회의 등을 선 채로 하고 있다. 회의실은 쓰지 않는다. 회의를 하지 않을 때에도 선 채 일하는 사원도 있다. 2015년 1시간짜리 회의가 전체의 80%였지만, 지금은 회의 대부분이 15~30분에 끝나게 됐다고 한다. 짧은 시간 안에 집중된 회의를 할 수 있도록 자료 준비 등에도 묘안을 짜내 생산성도 올라가고 있다. 회사 측은 이 같은 제도를 전 부서로 확산시킬 계획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전했다.
 미국 기업에서 먼저 시작한 ‘서서 일하기’는 일본에서도 라쿠텐(樂天)이나 일본마이크로소프트 등 정보기술(IT) 대기업을 중심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다. 특히 사무실 이전을 계기로 도입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구인사이트를 운영하는 아트라에(Atrae)는 지난해 12월에 임대 사무실 면적을 늘리면서 서서 일할 수 있도록 만든 책상인 ‘스탠딩 데스크’를 도입했다. 회사 담당자는 “서서 하는 쪽이 회의도 빨리 끝나고 무엇보다 즐겁다. 사무에 기분전환도 된다”고 말했다. 조직·인사컨설팅회사인 링크앤모티베이션이나 부동산서비스 대기업인 CBRE도 사무실 이전을 계기로 키가 큰 책상을 마련, 회의뿐만 아니라 통상업무에도 선 채로 일하는 사원이 늘고 있다.
 고정석 없이 자유롭게 좌석을 골라 앉는 ‘프리 어드레스’를 도입하는 기업도 확산되고 있다. 일본 야후는 2016년 10월 본사를 이전하면서 이 제도를 도입했다.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까지 볼 수 있는 넓은 플로어에 다양한 색과 형태의 책상이나 의자를 점점이 배치했다. 사원들은 어디서 일해도 괜찮다. 스마트폰 채팅 기능을 이용하면 사무실 책상을 지키지 않아도 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프리 어드레스가 단순히 좌석을 정하지 않는 건 아니다. 사원들이 어떻게 휴식을 취하고 집중해서 일할 수 있는가에 목표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카페 같은 공간이나 구두를 벗고 일할 수 있는 공간을 설치하는 곳도 있다.
 계속 앉아서 일하는 게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돼 온 것도 ‘서서 일하기’ 방식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와세다대학교 스포츠과학원 오카 고이치로(岡浩一郞) 교수에 따르면 일본 성인은 깨어있는 동안의 55~60%를 앉아서 있다.  조깅 등 운동을 하고 있는 시간은 5%. 집안일 등 조금 몸을 움직이는 것은 40% 정도다. 특히  IT화나 가사 자동화로 인해 약간의 운동마저 하지 않게 되면서 앉아있는 시간이 더 길어지고 있다. 사무직은 70% 이상의 시간을 앉아서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럴 경우 비만이나 당뇨병, 심질환에 걸린 위험이 커지고 정신건강 악화나 인지기능 저하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오카 교수는 “서서 일하는 방식이 지나치게 앉아있을 경우의 위험을 방지하고, 생산성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